부정선거 / / 2025. 1. 18. 22:00

방첩사, 포렌식 장비 2024년에만 약 40억원어치 구매… ‘선관위 털이’ 대비했나?

반응형

https://weekly.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39181

 

[단독] 방첩사, 포렌식 장비 2024년에만 약 40억원어치 구매… ‘선관위 털이’ 대비했나? - 주간조

국군방첩사령부(이하 방첩사)가 2024년에만 약 40억원 규모의 디지털 포렌식 장비를 구매하고, 방첩수사 기능을 강화하는 조직 개편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장비들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

weekly.chosun.com

 

국군방첩사령부(이하 방첩사)가 2024년에만 약 40억원 규모의 디지털 포렌식 장비를 구매하고, 방첩수사 기능을 강화하는 조직 개편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장비들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 서버나 시스템으로부터 부정선거 증거를 검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국방부가 이 장비 구입의 근거라고 제시한 2019년도 국방중기계획에는 관련 내용이 명문화되어 있지 않아 비상계엄 때 선관위 침투와 조사를 대비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5년간 전무하다 올해에만 120점 도입

주간조선 취재를 종합하면, 방첩사는 2024년 세 차례에 걸쳐 디지털 포렌식 장비 39억6176만원어치(45종 120점)를 도입했다. 지난해 12월 23일 부승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2월과 7월, 10월 방첩사는 로그DB관리 서버, 스위치, 증거 저장용 스토리지, 물리 복구 장비, 증거 분석용 워크스테이션 등의 디지털 포렌식 장비를 계약 및 도입했다. 2020년부터 5년간을 기준으로 할 때 2024년에만 3차례 구매한 것이다. 

보안분야 전문가들은 이 장비들이 부정선거 의혹을 조사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자료1’ 참조) 보안업계 관계자 A씨는 “2차로 구매한 장비들은 포렌식으로 복구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와 데이터에 접근한 사용자를 관리하는 서버를 시스템적으로 구축하는 장비다. 3차 구매 장비는 다양한 장비에서 포렌식으로 데이터를 복구하는 시스템, 1차 구매 장비는 휴대폰 분석과 대가성 가상자산 거래내역을 찾아내려는 시스템 구매로 보인다”며 “3차 장비가 많은 것은 이전 기록을 복원해 뭔가 알아내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한 A씨는 “포렌식 자체가 하드에 장비를 부착해 예전 기록을 하나하나 살리며 분석해야 하는 방식이라 계엄군이 포렌식 장비를 선관위에 가져갔다면 현장에서 직접 분석할 수 있다. 아니면 선거 관련 서버를 반출해 나와 따로 분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안분야 전문가 B씨는 “구매 목록에 선거와 같이 데이터가 많이 몰릴 때 내용을 분산, 분류시키고 투표용지와 등록증이 맞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장비가 포함돼 있다. 올해 해킹 등 관련 사고가 많았기 때문에 선관위 압수만을 목표로 해서 구매했다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부정선거 의혹을 조사할 수 있는 장비들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관련 자료에서 “2019년도에 디지털 포렌식 장비 도입 사업을 ‘2020~2024 국방중기계획(방위력개선)’에 반영했다”고 밝혔지만, 국방부가 2019년 발표했던 ‘2020~2024 국방중기계획’과 보도자료에 따르면 ‘디지털 포렌식 장비 도입 사업’은 명문화되어 있지 않다. 


공개된 국방중기계획엔 해당 내용 없어 

‘2020~2024 국방중기계획’은 방위력 개선분야에 대해 △다양한 위협에 대비한 전략적 억제 및 작전적 대응능력 구현 △초국가적·비군사적 위협 대응능력 확보 △국내 연구개발 역량 확충을 통해 자주국방 및 방산 육성 정책 구현 등 전방위 안보 위협에 대비해 첨단 전력을 증강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포렌식 장비 도입 사업’에 대한 언급은 없다. 이는 구체적으로 개선 분야 사업을 기재해 둔 신규사업, 계속사업 목록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국방부 관계자는 부승찬 의원실 질의에 대해 “(포렌식 장비 관련 사업이) 중기 계획에 포함돼 있다. (공개돼 있는 중기 계획에는) 주요 내용만 정리돼 있다. 원 자료는 방대하며 기밀 내용이 더 많다. 최초 중기 계획 이후에 새롭게 추가된 것은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정도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최기일 상지대 군사학과 교수는 “2024년도에만 디지털 포렌식 장비를 대거 구입한 것은 계엄 때 선관위를 조사하기 위해 긴급 사업으로 추가했을 가능성이 크다”며 “중기 계획에 신규 사업이나 긴급 도입 사업을 1년 전에 추가해 반영할 수 있다. 매년 6월 30일까지 국방부 계획 예산관실에서 소관해 7월에 기재부에 제출하면 예산안에 반영이 된다”고 설명했다. 

앞서 주간조선은 윤석열 대통령이 방첩사가 부정선거 의혹을 수사하는 데 근거가 되는 개정 대통령령(국군방첩사령부령 대통령령 제33409호)을 계엄 전 시행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 시점 또한 2023년 4월 18일이다. 개정 한 달 전인 2023년 3월 22일에는 윤 대통령이 방첩사를 비공개 방문해 현직 대통령으로서는 최초로 업무보고를 받은 바 있다. (주간조선 2838호 ‘[단독] 尹, 방첩사 방문 후 부정선거 수사 가능하게끔 대통령령 개정’ 참조)

이외에도 지난해 6월 부승찬 의원실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방첩사령부 조직개편 내역(최근 5년)’에 따르면 방첩사는 조직개편에서 2024년에만 사이버 보안·방첩수사 기능을 강화했다. 이 같은 조직 개편과 장비 구입은 계엄 당시의 선관위 조사를 수월하게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분석된다.(‘자료2’ 참조)

국방부 대변인 출신의 부승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방첩사의 디지털 포렌식 장비 도입과 전문인력 확보 및 양성에 주력한 것으로 보인다”며 “부정선거 음모론에 빠져있던 윤석열 대통령이 여 전 사령관에게 끊임없이 ‘부정선거 수사’ 관련 지시를 했다는 증거가 나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한 방첩사 고위 지휘관은 SBS와의 인터뷰에서 여인형 방첩사 사령관이 “상황 변화에 따라 선관위 서버를 포렌식 할 수 있으니 포렌식 장비를 챙기라”고 자신에게 명령했다고 밝혔다. 이 지휘관은 여 사령관으로부터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장관의 지시로 말하는 것”이라며 “선거관리위원회에 가라”는 명령을 전달받았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계엄 당시 선관위 군 투입과 관련해 ‘선거관리 전산시스템이 엉터리라 점검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주장한 바 있다. 

한편 검찰은 김용현 전 장관이 여 사령관과 문상호 정보사령관,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등에게 △정보사가 선관위를 장악하고 △방첩사·특전사 병력이 선관위에 출동하며 △정보사 요원들이 선관위 직원을 체포하는 등 선관위 장악과 전산자료 확보를 지시했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 주간조선(http://weekly.chosun.com)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